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김프 매매 / 펀비 매매 / 헷지(hedge) 개념 / 스테이킹

암호화폐 공부

by 미나리아재 2022. 6. 28. 18:22

본문


투자에 있어서 이론상 리스크 없이 최대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개념들입니다.
김프 매매, 펀비 매매, 헷지(hedge), 스테이킹 각각의 개념부터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 김프(김치 프리미엄) 

해외거래소의 암호화폐 가격과 국내 거래소의 암호화폐 가격의 차이인데요

ex) 해외거래소에 현재 A코인 가격이 100원인데 국내 거래소의 A코인 가격이 110원이라면 "김프 10%"라고 합니다. 김프가 + 일때도 있고, - 일 때도 있는데 이를 역 김프라고 불러요

 

  • 펀비(펀딩 비)

무기한 선물거래에서 우세한 포지션이 약세한 포지션에게 일정%만큼 돈을 주는 겁니다.

ex) A코인이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 사람들이 공매도(숏) 보다는 공매수(롱)를 더 많이 하겠죠? 
그럴 때 공매수(롱) 포지션을 취한 사람이 공매도(숏) 포지션을 취한 사람에게 8시간마다 일정%만큼 돈을 줍니다.

 

  • 헷지(hedge)

롱과 숏을 동시에 걸어서 시세차익으로 인한 이윤과 손실을 0으로 만드는 겁니다.

ex) 내 자산 200달러로 A코인 숏포지션(x1 배수) 100달러, A코인 롱포지션(x1 배수)(혹은 현물거래) 100달러 동시에 겁니다.
A코인이 10% 상승하면 롱포지션 10% 상승, 숏포지션 10% 하락 - 상쇄
A코인이 10% 하락하면 롱포지션 10% 하락, 숏포지션 10% 상승 - 상쇄

 

  • 스테이킹

특정 암호화폐를 스테이킹 함으로써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거래소나 다른 디파이를 통해 스테이킹 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에 대한 포스팅은 다음에 기회가 되면 해볼게요

예시용 사진입니다.

 

리스크 관리하면서 최대 수익을 내는 방법
1. 김프 %가 낮거나 역김프 일 때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로 자본을 옮깁니다.
(김프 보는 사이트는 구글에 검색하면 많아요)
2. 자산의 절반은 선물거래의 숏포지션, 절반은 현물로 가지고 있습니다. (헷지)
3. 현물로 가지고 있는 자산은 스테이킹을 합니다.

 

그럼 숏포지션에 들어가 있는 자산으로 펀비를 받을 수 있고, 스테이킹 해둔 자산으로 이자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가치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는 헷징을 통해 상쇄되어 있습니다.

 

4. 김프 %가 높아졌을 때 모든 포지션을 정리하고 해외거래소에서 국내 거래소로 자본을 옮겨 현금화합니다.

 

Q. 그럼 펀비를 내야 할 때도 있지 않나요?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과거의 통계를 봤을 때 3:1 비율로 숏 포지션이 펀비를 많이 받았고 대략 연이율 20% ~ 30% 정도 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